목차
프롤로그 | 우리가 도시에 ‘왜?’를 물을 때
PART 1. 도시의 의미
당신에게 도시는 어떤 의미인가요?
[정원문화도서관] 존재하지만 부재한 우리의 도시
가게 앞 가로수 한 그루
고객만 있고 시민은 없다
[건지산숲속도서관] 도시는 사람을 담는 그릇이다
관점은 변화의 시작점이 되어준다
안목이 깊이를 결정한다
세상을 바꾸는 용기, 상상력, 그리고 사회적 연대
PART 2. 도시의 역할
도시가 책과 함께 사유할 수 있다면
누군가와 나누고 싶은 시간의 문턱
[한옥마을도서관] 책 큐레이션은 삶의 제안이다
실제에서 실존으로 넘어가는 다리
[완산도서관 자작자작 책 공작소] 비장소를 가장 인간적인 장소로
세상에서 가장 흔하지만 가장 위대한 물건
PART 3. 도시의 마음
우리가 지은 것은 도서관이 아닙니다
[연화정도서관] 공공장소는 한 시대를 가장 의미 있게 상징한다
[책기둥도서관] 공공장소는 자기 입장을 밝혀야 한다
[야호 책놀이터] 아이들을 도시의 창조자로 키우고 싶다면
[우주로1216] 참여, 우리가 존재하는 방식
[금암도서관] 적당한 성공은 철저한 실패보다 위험하다
[학산숲속시집도서관] 도서관이 숲으로 간 이유
[첫마중길 여행자도서관] 도시 회복의 다른 방식, 도시 침술
[팔복예술공장 이팝나무그림책도서관] 도시는 기억의 집합이다
[다가여행자도서관] 그냥 들어갈 수 있을까
[책사랑포인트 책쿵 20] 시작할 수 있는 능력
PART 4. 도시의 확장
도시의 경험적 확장이 삶의 확장입니다
동네 골목에 도서관을 짓는 이유
[전주시립도서관 꽃심] 공공장소의 수준이 시민의 삶의 수준이다
[아중호수도서관] 도시를 더 다양하고 넓게 사는 법
[전주 도서관 여행] 우리는 도서관으로 여행 간다
PART 5. 도시의 미래
새로운 세상에는 새로운 종류의 인간이 필요하다
도시는 늘 과정 속에 있다
‘책의 도시’는 이어가야 할 유산이다
공무원들의 공부가 만들어낸 변화의 근력
변화의 맛
우리가 재미있게 일할 때 시민의 삶도 재미있어진다
에필로그 | 다정한 위로를 건네는 친구 같은 도시를 꿈꾸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