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STEP 1. 성장형 기록 고민하기
우리는 기록에 왜 매번 실패할까?
자기계발을 위한 기록을 하시는지
기록으로 무엇이 될 수 있을까? 일잘러? 혹은 계획형 인간?
난 프리랜서나 크리에이티브가 아닌데
STEP 2. 성장형 기록 준비하기
전략 1. 까다롭지만 기록의 목적을 정하자
기록도 다 같은 기록이 아니다
외적인 성장을 위한 기록의 목적을 도출하려면
전략 2. 번거롭지만 다이어리를 선택하자
다이어리가 얼마나 다양한지
A5 사이즈의 과학
기록의 목적을 고려한 선택
전략 3.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지만 기록 거리를 고민하자
왜 꾸준히 쓰고 기록하는 건 어려울까요?
일상을 나만의 시각으로 바라보려면
생각의 흐름을 기록 거리로
전략 4. 당연하지만 기록 루틴을 만들자
성장을 위한 가장 가성비 좋은 도구
결국 아침시간인가?
전략 5. 생각지도 못했지만 기록 마인드를 가지자
나만의 저널을 가질 수 있다면
콘텐츠로서 Multi-use가 가능하다면
STEP 3. 성장형 기록 실행하기
전략 6. 유연한 기록 방식이 답이다
자유로운 기록의 완성, 불렛저널
유연함으로 나를 표현할 수 있다면
불렛저널을 나만의 방식으로 활용해보자
전략 7. 목표 관리 과정이 기록의 핵심이다
목표 관리 과정은 최고의 기록 거리다
OKR 성과관리 방법론을 적용해보자
불렛저널 방식에 목표 관리가 어울릴까?
전략 8. 논리적 사고는 기록의 완성이다
논리적 사고와 기획력
논리적 사고는 기록을 돋보이게 한다
STEP 4. 성장형 기록 활용하기
직장에서 기록이 가능할까?
취미가 기록의 가치가 있을까?
프로젝트를 기록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
일상을 어떻게 기록할까?
STEP 5. 성장형 기록에 더하기 (Q&A)
영원한 딜레마, 아날로그 vs. 디지털
다이어리는 몇 권을 사용하는지?
불렛저널 방식이 정답인가?
기록의 자산 가치는 얼마나?
더 참고할 만한 책은?
글을 마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