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말
감사의 글
제1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낳은 복합폭력
1장 가자·서안에서의 인도주의적 재앙
Ⅰ. 가자와 서안 지구의 참상
Ⅱ. 팔레스타인 문제의 역사적 배경과 근본 원인
Ⅲ. 가자 지구의 진행형 역사
Ⅳ. 이스라엘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정착민 식민주의
Ⅴ. 국제사회의 이중 잣대와 책임
2장 시온주의, 신화적 정체성, 그리고 가자의 게토화
Ⅰ. 전쟁의 원인, 그 오랜 이야기
Ⅱ. 유대인의 ‘디아스포라’에서 ‘유대인 해방’까지
Ⅲ. 시온주의의 출현과 전개
Ⅳ. 종교적 제국주의 운동과 아랍민족주의
V. 유대 민족의식의 재구성과 이스라엘의 건국
Ⅵ. 가장 거대한 감옥이 되다, 가자의 게토화
Ⅶ. 느슨한 국가연합은 가능할까, 하마스의 출현과 팔레스타인의 미래
3장 젠더폭력의 관점에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해하기
Ⅰ. 여성폭력, 오래됐지만 여전한 폭력
Ⅱ. ‘살아 움직이는’ 여성폭력
Ⅲ. 여성폭력의 해소
Ⅳ. 처벌을 넘어 폭력의 단절을 향해
4장 가자에서의 생태폭력
Ⅰ. 전쟁과 생태폭력
Ⅱ. 가자 생태계 역사와 전쟁의 피해
Ⅲ.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생태폭력
Ⅳ. 생태폭력의 양상들
V. 민주평화를 넘어 생명평화로
5장 전쟁의 참상과 인공지능
Ⅰ. 들어가며: 첨단 기술의 실험실이 된 팔레스타인
Ⅱ. AI 기반 무기체계란 무엇인가?
Ⅲ. AI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
Ⅳ. 군사용 AI의 복합 영향
Ⅴ. 상황을 악화시키는 미국과 이스라엘의 밀월 관계
Ⅵ. 나가며: AI 워싱, 그리고 요원한 AI 윤리 확립
제2부 평화로 가는 험난한 길
6장 가자 제노사이드에 대한 국제사법기구와 한국 평화운동의 대응
Ⅰ. 학살을 재판한다는 것
Ⅱ. 국제사법재판소, 학살을 멈추라고 명령하다
Ⅲ. 국제형사재판소, 전쟁범죄자에게 체포영장을 발부하다
Ⅳ. 한국 시민운동, 이스라엘 전범을 고발하다
Ⅴ. 국제재판소는 학살을 막고, 처벌할 수 있는가
7장 제3자 개입과 ‘중개’
Ⅰ. 전쟁의 끝, 휴전과 종전
Ⅱ.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방안
Ⅲ. 이스라엘-하마스 사이의 제3자
Ⅳ. 가자의 중개자: 이집트·카타르·미국
Ⅴ. 전쟁 종식으로의 타임라인
Ⅵ. 가자 평화와 중개
8장 전쟁의 수렁에 평화를 일구는 종교 간 대화
Ⅰ. 종교 간 대화, 평화에 이르는 길
Ⅱ. 종교 간 대화의 의미와 국내외의 주요 사례
Ⅲ.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서의 종교 간 대화, 그 가능성과 한계
Ⅳ. 평화를 위한 종교 간 대화, 우리 모두의 사명
9장 절멸의 정치
Ⅰ. 대(對)팔레스타인 식민주의 지배 전략을 수행하는 국가, 이스라엘
Ⅱ. 국가로서의 이스라엘
Ⅲ. 이스라엘 국가폭력의 네 층위
Ⅳ. 기억되지 않는 사람들
Ⅴ. 나가는 말: 평화 연대와 정치의 중요성
제3부 한반도에서 보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10장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한국 사회의 여론
Ⅰ. 한국 사회의 여론은 어떨까?
Ⅱ. 《조선일보》의 논조
Ⅲ. 《한겨레》의 논조
Ⅳ. 두 신문의 논조 비교와 평가
11장 북한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인식과 한반도 함의
Ⅰ. 북한의 입장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Ⅱ.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통해 북한이 바라본 국제 정세는?
Ⅲ. 한반도는 괜찮을까
맺음말
부록
1.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2024.06.10.)
2. 유엔 총회 결의(2024.09.18)
3.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에 체결된 인질-휴전 합의(2025.01.15.)
4.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주요 일지
참고문헌 / 집필진 소개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