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배경지식으로 앎의 기본기를 다지는 문해력
1 곁텍스트로 배경지식 쌓기: 미리보기
2 핵심어로 주제 배경지식 넓히기: 예측하기
3 논리 지식을 활용하며 읽기: 글의 틀
4 이야기 구조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며 읽기: 이야기 구조도
5 사건의 흐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며 읽기: 플롯 다이어그램
2장 질문으로 키우는 문해력
1 용기 내어 질문 쏟아내기: 퀘스천스토밍
2 후속 질문으로 깊이 있는 학습하기: KWLS
3 답을 의심하고 또 의심하기: 물음표를 붙이며 읽기
4 다양한 층위의 질문 만들기: 질문의 틀
5 정보의 정확성을 스스로 평가하고 높이기: CRAAP
3장 여러 텍스트로 답을 찾아가는 문해력
1 최신 사례로 답 검증하기: 신문 기사
2 알고리즘에서 벗어난 세상 읽기: 뉴스레터
3 인공지능에 없는 삶의 문제 만나기: 잡지
4 빅데이터로 문제 해결하기: 뉴스 빅데이터
5 확실한 대안을 찾아 심화 탐구하기: 학술기사
4장 이미지로 소통하는 문해력
1 사라지는 정보를 붙잡아 정교화하기: 개념도 그리기
2 비언어적으로 표현하기: 그림으로 연결하기
3 많은 정보를 한 장으로 전달하기: 인포그래픽 만들기
4 핵심 내용을 한눈에 쏙 들어오게 시각화하기: 포스터 그리기
5 디지털 언어로 작품을 재창작하기: 이모지로 번역하기
5장 인공지능으로 확장하는 문해력
1 연쇄적인 질문으로 주제를 탐구하기: 질문연속체
2 생성형 AI의 답을 팩트 체크하기: 알아채기
3 독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기: 이미지 생성형 AI로 그리기
4 작품을 음악으로 재창작하기: 음악 생성형 AI로 주제가 만들기
5 인공지능의 생산 윤리 파악하기: 인공지능의 이면 읽기
6장 과정을 평가하며 성찰하는 문해력
1 주인 의식을 갖고 되돌아보기: 자기 성찰 평가
2 읽고 쓰기의 과정을 스스로 돌아보기: PMI 차트
3 팀플레이 과정을 되돌아보기: 동료 평가
4 말하며 경청과 공감의 힘을 키우기: 구술 평가
5 개인의 생각을 전체에 공유하기: 질문 갤러리 워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