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제2차 세계대전의 국면사
1장 불완전한 승리
1. 베르사유 체제와 전간기(戰間期) 국제정세의 변화
2. 초기 집단안보체제의 실패
2장 또다시 전쟁으로
1. 전후 독일의 재무장
2. 유럽의 전체주의 확산과 독일의 팽창
3. 일본의 제국주의 확장
4. 독일의 전쟁계획
5. 일본의 전쟁계획
3장 승리를 위한 투쟁
1. 유럽 초기 전선
2. 지중해 전선
3. 유럽 동부 전선
4. 유럽 북서부 전선
5. 대서양 전선
6. 아시아·태평양 전선
4장 승리 이후
1. 총평: 전쟁의 특징과 참상
2. 전후처리
3. 승리 / 패배 요인 분석
4. 무기체계 및 전술교리의 발전
5. 전쟁의 의미와 교훈
6. 전후 국제질서의 변화
7. 제2차 세계대전의 연구 동향
제2부 주요 교전국의 전시생산체제
1장 제2차 세계대전의 결정변수
2장 미국과 영국: 전략적 융합
1. 경쟁과 협력에 기반한 게임체인저 연구개발
2. 국내 전선과 전시생산체제의 시너지 효과
3. 전쟁지속능력은 승리의 원동력이다
3장 소련: 생산적 희생과 전략적 인내
1. 대미 군사협력과 기술자립화를 통한 군사력 건설
2. 강력한 공업화와 산업시설 재배치를 통한 항전태세 구축
3. 자강(自强)과 동맹(同盟)이 승리의 원동력이다
4장 독일: 구조적 모순과 비효율성
1. 폐쇄적 연구개발과 미완(未完)의 기술혁신
2. 연합국을 넘어서지 못한 독일의 전시생산체제
3. 전쟁지속능력은 현대전의 조직화된 비르투(Virtu)이다
5장 일본: 군국주의와 전시경제의 불협화음
1. 과학기술 총력전 개념에 입각한 군비증강
2. 전시동원 및 총력전 체제의 한계
3. 전쟁지속능력은 현대전의 회복탄력성이다
나가며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