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한국어판 서문
역자 인사말
일러두기
제1부 조선인 징병 실시와 희생자 수
서장 징병 전사(前史) –조선육군특별지원병-
제1장 징병 발표 이전의 징병 준비
1. 조선청년 체력검사의 실시
2. 징병 발표 직전의 징병 준비
3. 징병 발표와 조선총독부
제2장 징병제 실시 과정(1) - 기류·호적정비를 중심으로 -
1. 호적 정비
2. 기류령과 기류 촉진 운동
3. 기류·호적 정비의 실정
4. 기류·호적 정비의 결과
제3장 징병제의 실시 과정(2) - 청년 훈련을 중심으로-
1. 조선 청년의 연성(鍊成) 준비
2. 조선청년특별연성령의 실시
3. 청년훈련소 별과의 징병 준비
4. 군무예비훈련소의 창설
5. 조선여자청년연성령의 실시
6. 징병준비훈련의 실시 상황
제4장 징병검사 실시
1. 징병사무 개시
2. 징병검사 경과
3. 징병검사 결과
제5장 징병과 경찰·군 조직
1. 징병 실시와 경찰
2. 조선군 개요와 조선인 징병
제6장 징병 실시와 징병자 수
1. 징병자 수
2. 조선인 보충병을 중심으로 한 보충대의 존재
3. 근무대원으로 징병된 사람들
제7장 조선인 희생자 수
1. 군속 희생자
2. 육군특별지원병
3. 해군특별지원병
4. 학도지원병
5. 징병자들
6. 기타 병과의 희생자
7. 후생성이 제출한 ‘전사’자 자료에 대해
8. 2만 2,182명이라고 하는 희생자 수
9. 조선인 희생자 문제에 대해
제8장 일본‘본토’와 ‘만주국’의 징병 실시
1. 일본‘본토’ 조선인 징병 과정
2. ‘만주국’에서의 조선인 징병
제2부 조선 민중과 징병 체제
제1장 징병을 가능케 한 여러 요인
1. 조선인 인구 증가 압력
2. 교육 보급과 취직난
3. 농촌경제 통제의 강화
4. 경제 통제와 상업·공업 활동의 위축
5. 황민화정책과 조선 청년
제2장 병사들의 출신 계층
1. 초기 군속들의 출신 계층
2. 육군특별지원병의 출신 계층
3. 상층 계층의 학도병
4. 1944·45년도 징병자의 출신 계층
5. 태평양전쟁 하의 군속·군부
6. 청년층의 총동원과 구분
제3장 조선 민중에 대한 군사적 동원 - 군속·군요원 -
1. 군사적 동원의 채용 형태와 직종
2. 군속
제4장 조선 민중에 대한 군수물자 동원
1. 저축 강화
2. 군(軍)의 직접동원
제5장 징병, 군사적 동원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
1. 조선 민중의 저항
2. 학도지원병의 저항
3. 징병자의 저항 - 주로 도망에 관하여
4. 한순간에 사라져버린 군사교육의 성과
5. 조선인 저항의 의미
제6장 조선인 징병 문제를 둘러싼 문제들
1. 조선인 징병, 노무동원과 농업 재편
2. 조선총독부의 이중지배 구조
제7장 징병 실현과 평가의 문제
1. 구 일본군 관계자의 평가
2. 조선인의 평가
3. 조선인 징병의 새로운 평가를 위해
4. 향후 일본인의 대응
맺음말
제3부 식민지 조선인 민중의 역사를 밝히는 길, 평생의 시무(時務)
히구치 유이치 선생님 인터뷰
부록
징병 관계 자료
참고문헌
연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