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편. 공역
1장 개요
1.1 개요
1.2 시계상의 양호한 기상상태
1.3 시계비행 순항고도와 비행고도
2장 관제공역
2.1 개요
2.2 A등급 공역
2.3 B등급 공역
2.4 C등급 공역
2.5 D등급 공역
2.6 E등급 공역
3장 비관제공역
3.1 개요
3.2 G등급 공역
4장 특수사용공역
4.1 개요
4.2 비행금지구역
4.3 비행제한구역
4.4 초경량비행장치 비행제한구역
4.5 위험구역
4.6 경계구역
4.7 훈련구역
4.8 군작전구역
2편. 항공교통관제
1장 조종사가 이용 가능한 관제서비스
1.1 시계비행도착을 위한 접근관제업무
1.2 관제탑이 운영되지 않는 공항에서의 교통조언업무
1.3 공항정보방송시설 ATIS
1.4 레이더 교통 정보 서비스
1.5 안전 경보
1.6 시계비행항공기에 대한 레이더 업무 지원
1.7 시계비행항공기를 위한 터미널 레이더 업무
1.8 트랜스폰더 및 ADS-B 송출
2장 무선통신 용어 및 요령
2.1 개요
2.2 교신 요령
2.3 교신 절차
2.4 항공기 호출부호
2.5 지상 무선국 호출부호
2.6 국제민간항공기구 발음법
2.7 숫자 사용법
2.8 시계비행을 위한 통신
3장 공항 운영
3.1 교통 장주
3.2 활주로/공시거리의 사용
3.3 저고도 급변풍/마이크로버스트 감지 시스템
3.4 제동상태 보고 및 조언
3.5 교통관제 빛총 신호
3.6 무선통신
3.7 출발 지연으로 인한 계류장 대기절차
3.8 공항 구역에서의 시계비행
3.9 지상 활주
3.10 저시정 운영절차
3.11 착륙 후 활주로 개방
3.12 필수 비행장 정보
4장 ATC 인가 및 항공기 분리
4.1 허가사항
4.2 특별시계비행 허가
4.3 허가 발부에 대한 조종사 책임
4.4 운상시계비행
4.5 시계/계기 비행
4.6 허가 준수
4.7 계기비행 항공기의 분리 기준
4.8 속도조절
4.9 시각경계절차의 사용
4.10 공중충돌경고장치
5장 감시 시스템
5.1 레이더
5.2 항공교통관제 레이더 비컨 시스템
5.3 감시 레이더
5.4 정밀 접근 레이더
5.5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ASDE-X)/Airport Surface Surveillance Capability(ASSC)
5.6 교통정보 업무
5.7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ADS-B) Services
5.8 Traffic Information Service-Broadcast(TIS-B)
5.9 Flight Information Service-Broadcast(FIS-B)
5.10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Rebroadcast(ADS-R)
6장 기압고도계
6.1 개요
6.2 기압고도계 오류
6.3 고도계 오류
6.4 저온이 기압 고도계에 미치는 영향
6.5 저온 고도계 오류에 대한 비행 전 준비
6.6 저온이 VNAV의 수직항법에 미치는 영향
3편. 항공교통절차
1장 비행 전
1.1 비행 전 준비
1.2 시계비행 중 계기비행 절차 이행
1.3 항공정보
1.4 비행계획
1.5 방어시계비행계획
1.6 혼합비행계획서
1.7 비행계획 변경
1.8 출발시간 변경
1.9 시계비행/방어시계비행 비행계획의 종결 통보
1.10 IFR비행계획 취소
2장 출발절차
2.1 지상 활주 전 비행허가 절차
2.2 지상 활주 허가
2.3 이륙위치에서의 대기
2.4 중간이륙
2.5 계기비행 이륙허가 간소화 절차
2.6 출발 제한사항, 비행허가 무효시간, 출발유보 및 출발유보 해제시간
2.7 출발 관제
2.8 계기출발절차(DP), 장애물 출발절차(ODP), 표준계기 출발절차(SID) 및 임의 레이더 유도구역(DVA)
3장 항로절차
3.1 ACC 통신
3.2 위치보고
3.3 추가보고
3.4 항공로 및 비행로
3.5 주파수변경지점
3.6 체공
4장 도착절차
4.1 표준계기도착절차(STAR)
4.2 접근 관제
4.3 계기접근절차 차트
4.4 계기접근절차
4.5 특별계기접근절차
4.6 절차선회 및 절차선회 대신 체공
4.7 체공픽스로부터의 시차접근
4.8 레이더 접근
4.9 동시 종속 접근
4.10 동시 독립 접근
4.11 동시 독립 근접평행접근-정밀 활주로 감시(PRM)접근
4.12 RNP AR 계기 절차
4.13 측면이동 접근
4.14 접근 및 착륙 최저치
4.15 실패 접근
4.16 시각 접근
4.17 발간된 시각 비행 접근절차
4.18 Contact Approach
4.19 착륙 우선순위
5장 국가 안보 및 요격절차
5.1 요격절차
5.2 방공식별 구역
5.3 제한식별 구역
4편. 비상절차
1장 개요
1.1 조종사의 책임과 권한
1.2 비상상황-즉시 도움 요청
2장 조종사를 위한 비상 지원 업무
2.1 트랜스폰더의 비상작동
2.2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
2.3 송신기 및 수신기 고장 시 관제탑과의 교신
3장 조난 및 긴급 시 절차
3.1 조난 및 긴급 시 의사소통
4장 양방향 무선통신 고장
4.1 양방향 무선통신 고장
4.2 양방향 무선통신 고장 시 트랜스폰더 작동
5편. 항행
1장 항행안전시설
1.1 개요
1.2 전방향 표지시설
1.3 전방향 표지시설 수신기 검사
1.4 전술항행 표지시설
1.5 초단파 전방향 표지시설
1.6 거리측정시설
1.7 운용범위
1.8 계기착륙시설
1.9 항행안전시설의 식별부호 제거
1.10 관성기준장치, 관성항법장치, 자세방위기준장치
1.11 위성항법시설
2장 공항등화
2.1 진입등 시스템
2.2 시계진입각지시등
2.3 활주로시단식별등/활주로종단식별등
2.4 활주로등
2.5 활주로 내 등화
2.6 등화시스템의 조작
2.7 항공 등대
2.8 유도로 등화
3장 성능기반항행 및 지역항법
3.1 개요
3.2 필수항행성능
3.3 재래식 절차와 항로에서의 적절한 RNAV 사용
3.4 위성항법시설의 간섭
4장 항공장애표시등 및 표지
4.1 항공장애표시등의 설치 대상
4.2 장애표지물의 설치
4.3 풍력터빈의 표시등
4.4 표지의 설치
4.5 색채의 표지
4.6 기의 설치
5장 공항 표지 및 표지판
5.1 개요
5.2 공항 표지
5.3 활주로 표지
5.4 유도로 표지
5.5 정지위치 표지
5.6 기타 표지
5.7 공항 표지판
5.8 명령지시 표지판
5.9 정보 표지판
5.10 활주로 잔여거리 표지판
6편. 비행안전
1장 항적난기류
1.1 개요
1.2 와류 생성
1.3 와류 강도
1.4 와류 반응
1.5 운영 문제 구역
1.6 와류 회피 절차
1.7 헬리콥터
1.8 조종사 책임
1.9 항적난기류 항적 분리
2장 조류 위험 및 야생동물의 위험
2.1 철새 활동
2.2 버드스트라이크 위험 감소
2.3 버드스트라이크 보고
2.4 조류 및 야생동물 활동의 보고
2.5 조류 및 야생동물의 위험에 대한 조종사 보고
3장 잠재 비행 위험요소
3.1 사고 유발 요소
3.2 혼잡한 구역에서의 시계비행
3.3 비행 장애물
3.4 무인기구류 회피 비행
3.5 무인 비행기 시스템
3.6 산악 비행
3.7 화산재에서의 운항
3.8 다른 항공기에 대한 긴급 점검
3.9 강수 정전기
3.10 레이저 운영 및 항공기의 레이저 광선 보고
3.11 Flat Light, Brown Out 상황 및 White Out 상황에서의 비행
3.12 지상에서의 착빙 상태에서의 운항
3.13 굴뚝 주변에서의 비행 회피
4장 안전, 사고, 위험요소 보고
4.1 항공 안전 보고 프로그램
4.2 항공기 사고 및 준사고 보고
4.3 공중 근접 충돌 보고
4.4 미확인 물체 보고
4.5 항공안전자율보고 정보지 “GYRO” 제작과 배포
4.6 항공안전자율보고 접수 방법
7편. 항공지도와 관련 간행물
1장 사용 가능한 차트의 종류
1.1 개요
1.2 항공지도의 획득
1.3 항공지도의 종류
1.4 각 항공지도의 일반 개요
1.5 항공지도의 기호
부록. 조종사/관제사 참고용어
- 조종사/관제사 참고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