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추천사
1장 초고령사회, 마주해야 할 현실들
01 ‘2025년 문제’ 예측된 상황
02 고령자가 고령자를 돌보는 사회
03 사회 속 표류자가 된 고령층
04 숨어버린 사람들, 은둔형 외톨이
05 죽어야 보이는 사람들, 고독사
〈시니어 라이프〉 뇌의 건강 수명을 늘리는 ‘20가지 행동’
2장 지역 돌봄의 핵심, 지역포괄케어
01 인지증의 시대
02 의료와 돌봄을 동시에, 지역포괄케어시스템
03 사회적 편견을 깨는 사람들
04 일본의 다양한 데이 서비스센터
05 후쿠오카 인지증 프렌들리 센터
〈시니어 라이프〉 ‘건강 장수 가이드라인’ 12가지 수칙
3장 초고령사회를 새로 쓰는 이들
01 길 위의 쉼표가 된 정류장과 이발소 이야기
02 인지증과 함께하는 사회
03 존엄과 자립을 실천하는 요양시설
04 생활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는 ‘고령자 주택’
05 주택·케어·복지가 어우러진 공동체 주택 ‘나스마을’
〈시니어 라이프〉 인지증 대응 7대 원칙
4장 소비시장의 변화, 시니어 시프트
01 시니어 시프트의 출현
02 생필품 사러 가기 어려운 쇼핑 난민, 식품 사막
03 사람과 기술이 공존하는 돌봄의 해법
04 인생을 마무리하는 활동 ‘종활(終活)’
〈시니어 라이프〉 일본의 새로운 시니어 라이프 스타일
5장 액티비티 시니어로 사는 사람들
01 단카이 세대와 액티비티 시니어
02 나이를 떠나 즐거움이 있는 삶! ‘취미인클럽(趣味人倶楽部)’
03 일본 시니어 살롱의 인생 2막 프로젝트
04 고령자들의 아지트, 삶을 디자인하다
〈시니어 라이프〉 슬기로운 액티비티 시니어 생활
6장 평생 현역으로 사는 사람들
01 70세 정년 시대
02 지역 사회와 함께 살아가는 고령자
03 은퇴 후의 또 다른 무대
〈시니어 라이프〉 늙는다는 착각
기고문
최학희 《시니어트렌드 2025》 저자
- 시니어 트랜드 2025 : 세 가지 핵심 키워드
박한우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 시니어 세대의 정보격차 : 디지털 시대의 도전과 기회
변재관 한·일사회보장정책포럼 대표
- 한국 돌봄통합지원법의 연착륙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