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인생, 내리막이 최고!
산다는 것은 나이를 먹는 것
열여덟 살로 돌아가고 싶나요?
시작하기 전부터 ‘못 한다’는 말은 거짓말
세월을 쌓아야 비로소 깊이가 생깁니다
제2장 ‘그렇지만…’의 벽을 넘어섭시다
위가 아닌 ‘앞’을 지향합시다
뺄셈이 아니라 ‘덧셈’으로 살아갑시다
‘그렇지만’이 입버릇이 되지는 않았나요?
사람의 가치는 생산성으로 정해지는 게 아닙니다
제3장 ‘살아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됩니다
‘아침에 눈 뜨는 일’에 행복을 느껴 보세요
지금 있는 곳에서 무엇을 할 수 있나요?
병은 ‘다시 사는’ 계기가 됩니다
목숨 사용 방법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제4장 ‘지금, 여기’를 소중히 여기며 삽시다
어머니는 병상에서 “독일어를 공부하고 싶다”라고 하셨습니다
인생은 마라톤이 아니라 춤입니다
인생을 뒤로 미루지 마세요
‘무한한 시간이 있다’라고 생각합시다
제5장 집착하면 어떻습니까?
사람은 왜 죽음을 두려워할까요?
소중한 사람의 마음 안에서 계속 살아갑니다
죽은 후에 돌아가야 할 곳
소크라테스의 최후
지금을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제6장 ‘어른’이 아니면 돌보지 못합니다
나이 든 부모와의 관계가 가장 어렵지요
‘어른’이기 위한 세 가지 요건
있는 그대로의 부모를 받아들입시다
함께 있을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세요
“이 얘기, 전에도 했었나?”
망상을 부정하면 증상은 악화합니다
잊어버린 것을 지적하지 마세요
망각은 여과기
치매 걸린 부모가 이상적인 삶의 방식을 보여 줍니다
‘할 수 있는 일’에 초점을 맞춰 봅시다
제7장 ‘못 한다’라고 말할 용기가 중요합니다
우선 자신이 행복해야 합니다
기쁨은 인간관계 안에서만 생겨납니다
못 할 때는 ‘못 한다’라고 말해도 됩니다
삼촌·이모의 심리학
제8장‘우리’를 주어로 생각해야 합니다
퇴직 후의 고민은 인간관계의 고민
생산성이라는 가치관을 떨쳐 버립시다
타자와의 마찰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있는 그대로의 나를 좋아해도 됩니다
인간은 몇 살이든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공과 행복의 차이
여기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타자공헌이 됩니다
세월은 그저 이어지는 게 아닙니다
아들러가 가르쳐 주는 ‘인생의 의미’
제9장‘나이 듦의 행복’을 다음 세대에 전합시다
하루하루를 기분 좋게 살면 어떨까요?
타인의 과제에 멋대로 개입하지 마세요
이견이 있어도 한 번 더 생각해 보세요
미움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다람쥐처럼 ‘숲’을 키웁시다
모르는 것을 솔직히 인정할 용기
젊은 사람이 자신을 뛰어넘는 것을 기뻐합시다
철학은 50세부터
‘지금, 여기’에 있는 행복을 젊은이들에게 전합시다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