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기능 화성
1) 온음계(Diatonic Scale)
2) 화음의 기능(Function)과 화성 진행
3) 반음계 화성(Chromatic Harmony)
분석 - Blues for Alice
[과제] 현대 화성의 사례 수집하기
2장 현대 화성
1) 현대 화성의 정의
2) 곡 분석의 일반적인 방식
3) 라인 클리셰(Line Cliché)
분석 - Question & Answer
[과제] 화성 진행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반영하여 곡 쓰기
3장 모달 인터체인지 I : Minor in Major
1) 개념의 정리
2) Minor in Major
3) Subdominant Minor
4) 모달 인터체인지의 사용 방식
분석 - Here’s That Rainy Day
[과제] 1)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 붙이기
2) ‘Minor in Major’ 콘셉트의 모달 인터체인지 곡 쓰기
4장 모달 인터체인지 II : Major in Minor
1) Major in Minor
2) 모달 인터체인지의 사용
분석 - Speak No Evil
[과제] ‘Major in Minor’의 모달 인터체인지를 사용한 곡 쓰기
5장 모달 인터체인지 III : 장단조의 혼용
1) 장단조의 혼용
2) 4-Tonic System
분석 - Ana Maria
[과제] ‘장단조 혼용’에 의한 모달 인터체인지 곡 쓰기
6장 모달 인터체인지 IV : 선법 음악의 적용
1) 선법 음악(Modal Music)
2) 선법 음악에서의 모달 인터체인지
분석 - Little Flag
[과제] 모달 인터체인지를 사용한 선법 음악 곡 쓰기
7장 임플라이드
1) 임플라이드(Implied)
2) 허위종지(Deceptive Cadence)
분석 - Implied
[과제] 임플라이드(Implied) 화성 개념을 적용한 곡 쓰기
8장 콘스탄트 스트럭처 I : 조성 안에서의 적용
1) 화음 성질(Chord Quality)의 유지
2) 콘스탄트 스트럭처(Constant Structure)
3) 모달 인터체인지에 의한 콘스탄트 스트럭처
분석 - Sing Me Softly of the Blues
[과제] 모달 인터체인지에 의한 콘스탄트 스트럭처의 곡 쓰기
9장 콘스탄트 스트럭처 II : 비기능적 화성의 적용
1) 베이스 진행의 패턴화
2) 병행 화음의 사용
분석 - See The World
[과제] 병행 화음에 의한 콘스탄트 스트럭처의 곡 쓰기
10장 콘스탄트 스트럭처 III : 패턴의 사용
1) 패턴의 사용
2) 상부구조 3화음(Upper Structure Triad)
3) 하이브리드 코드(Hybrid Chord)
분석 - Lonely Love
[과제] 패턴에 의한 콘스탄트 스트럭처 곡 쓰기
11장 앰비규어스
1) 앰비규어스(Ambiguous)
2) 3도 관계(Median Relationship) 진행
분석 - Ambiguous
[과제] 앰비규어스(Ambiguous) 개념 포함하는 곡 쓰기
12장 반음계주의
1) 반음계주의(Chromaticism)
2) 연속 반음계 화성 진행
3) 재즈에서의 반음계 화성
분석 - 반음계주의
[과제] 연속 반음계 진행에 의한 곡 쓰기
13장 선법의 활용
1) 모달 재즈의 전개
2) 모달 재즈의 음계(Scales)
3) 모달 보이싱(Modal Voicing)
4) 선법의 복조성(Poly Tonality)
분석 - Time Remembered
[과제] 선법(Mode)을 활용하여 곡 쓰기
14장 12음 기법
1) 12음 기법
2) 음렬주의
3) 재즈에서의 12음 기법
분석 - T. T. T.(Twelve Tone Tune)
[과제] 12음 기법을 사용하여 곡 쓰기
15장 선율 만들기
1) 동음의 유지
2) 음형의 반복
3) 공통음의 사용
4) 반음 진행
5) 5음 음계
6) 온음계 선율
7) 동형진행
분석 - Melodic Sequence
[과제] 동형진행 선율 만들기
16장 금기의 해체
1) 회피음(Avoid Note)의 사용
2) 복화음(Poly Chord)
3) 복조성(Polytonality)
분석 - Here, There and Everywhere
[과제] ‘Autumn Leaves’를 재화성화하고 보이싱 만들기
색인 및 용어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