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_ 5
철학 교육을 위한 제언 19
제6장 실존의 등대 23
제1절 키르케고르 25
1. 키르케고르의 삶 25
2. 키르케고르의 가명들 28
3. 키르케고르의 논리 전개 방법 29
1) 간접 전달법 29
2) 아이러니 30
3) 소크라테스와 아이러니 30
(1) 1부 소크라테스의 관점으로 아이러니 보기 31
(2) 2부 아이러니의 개념 33
4) 객관적 진리와 주관적 진리 37
4. 키르케고르의 핵심 개념 42
1) 불안 42
2) 절망 44
3) 둘 중 하나, 또는 이것이냐 저것이냐! 51
5. 실존의 세 가지 방식 61
1) 심미적 실존 방식 62
2) 윤리적 실존 방식 68
3) 종교적 실존 방식 76
제2절 후설과 판단중지 88
1. 후설 88
2. 후설 철학의 과정 90
1) 에포케(epoche′) 93
2) 후설과 에포케 94
3) 자연적 태도, 판단중지 95
4) 판단중지의 목적 96
5) 실존 철학과의 연결고리 97
3. ‘제3절 존재와 시간’을 읽기 전에 미리 이해해야 할 사실 99
제3절 존재와 시간 102
1. 후설의 현상학으로부터 104
2. 책의 구성 105
3. 하이데거 109
4. 실존 113
5. 범주 115
1) 피투(Geworfenheit) 116
2) 시간성(Zeitlichkeit) 117
3) 로고스(Logos, λόγος) 118
4) 로고스의 속성 120
6. 현존재(Dasein)의 근본 구성 틀, 세계-내-존재(In-der-Welt-sein) 122
7. 철학의 난제, 혹은 영원한 주제 ‘세계성’ 125
8. 기타 개념들 130
1) 물음이 가지는 세 가지의 형식적 구조 131
2) 현존재 131
3) 현존재의 근본 틀 135
(1) 내-존재內存在(In-Sein) 135
(2) 현존재와 세계와의 관계 136
4) 존재자의 가용성(Zuhandenheit)과 순수존재성(Vorhandenheit) 137
5) 지시와 기호(Verweisung und Zeichen) 140
6) 세계와 세계성 142
7) 데카르트와 하이데거의 세계성 비교 146
(1) 데카르트의 연장延長(extentio) 146
(2) 주변 세계의 주변성과 현존재의 공간성 149
8) 더불어 있음과 자기 자신으로 있음의 세계-내-존재. ‘사람들’(Das In-der-Welt-sein als Mit-und Selbstsein. ‘Das Man’) 153
(1) 사람들(das man) 157
(2) 안內에 - 있음存在 그 자체(Das In-Sein als solches) 158
9) 현(Da, 거기에)의 실존론적 구성 162
(1) 처해 있음의 유형, 두려움 162
(2) 이해로서의 현-존재 165
(3) 이해와 해석 168
(4) 해석의 새로운 형태인 ‘발언’ 170
9.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염려 173
1) 현존재의 존재에 대한 물음 173
2) 불안 174
3) 현존재의 존재는 염려 178
10. 현존재의 시간성 182
1) 죽음 186
(1) 미완, 종말, 전체성 187
(2) 죽음에 이르는 본래적 존재의 실존론적 기투: 죽음으로의 선구 190
2) 양심 193
(1) 양심의 부름 198
(2) 양심의 결단성 203
3) 현존재의 시간성 205
(1) 선구적 결단성 207
◈ 보충학습 1: 선구적 결단성과 불교 여래장如來藏 사상의 관계 210
(2) 염려와 자기성 213
(3) 선구적 결단성과 시간성 216
(4) 하이데거의 시간론 217
11. 시간성과 일상성 220
1) 열어 밝혀져 있음의 시간성 221
(1) 이해의 시간성 221
(2) ‘처해 있음’의 시간성 224
(3) 퇴락의 시간성 225
(4) 말의 시간성 226
2) 세계-내-존재의 시간성과 세계의 초월 228
(1) 둘러보는 배려의 시간성 228
(2) 둘러보는 배려가 세계내부적인 눈 앞의 것의 이론적인 인식으로 모습을 바꾸게 되는 시간적 의미 229
(3) 세계의 초월의 시간적 문제 231
12. 결론으로서의 요약(현존재, 현존재의 염려, 시간성 및 현존재의 본래성과 비본래성)과 비교 234
◈ 보충학습 2: 실존 철학과 불교의 관계 236
◊ 실존 철학 이전의 고민 236
- ‘자아’ 및 ‘실체’에 대한 고민 236
- 상견론常見論과 단견론斷見論 238
◊ 세계-내-존재, 현존재, 그리고 상분, 견분, 자증분, 증자증분 241
- 상분, 견분, 자증분, 증자증분 241
- ‘Da-sein’, 그리고 ‘Da’ 243
- 심식, 그리고 견분, 상분 244
■ 참고문헌 / 247
■ 찾아보기 /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