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믿음으로 투표할 수 있는가?
1장, 예수님도 정치에 대해 말씀하셨는가?
복음은 사적인 것인가, 공적인 것인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예수님은 왜 ‘정치적’ 왕이 아니셨는가?
정치적이지만 당파적이지 않은 복음
나눔을 위한 질문
2장, 두 왕국, 한 주권: 교회와 국가의 경계 그리기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 루터의 두 왕국, 칼뱅의 이중 정부
오늘날의 두 왕국 이론
교회와 국가, 구분과 협력
두 왕국 이론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나눔을 위한 질문
3장, 두 왕국과 영역 주권: 정치 참여의 균형점 찾기
두 왕국 이론의 기초 위에서
신칼뱅주의와 영역 주권
문화 변혁 비전과 복음의 우선성
신칼뱅주의 운동의 한계와 비판
두 왕국 이론과 영역 주권의 통합적 적용
복음 중심의 균형 잡힌 정치 참여를 향하여
나눔을 위한 질문
4장, 교회, 정치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교회는 특정 정당을 지지할 수 있는가?
설교에서 정치 문제를 다뤄도 되는가?
교회가 정치화되지 않으면서도 ‘예언자적 목소리’를 내는 방법
목회자와 교회 지도자를 위한 실천적 지침
균형 잡힌 정치적 발언을 향하여
나눔을 위한 질문
5장, 정치와 신앙,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
진보와 보수, 그리스도인은 어디에 설 것인가?
‘반공주의 신앙’과 ‘정의의 신앙’은 과연 성경적인가?
보수, 진보보다 복음이 우선이라는 말의 실제 의미
그리스도인의 올바른 정치 참여를 향하여
나눔을 위한 질문
6장,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투표해야 할까?
투표는 신앙의 행위가 될 수 있을까?
분별력 있는 투표를 위한 원칙
투표에서 경계해야 할 위험들
미국 사례 연구: 트럼프 시대 두 복음주의 목사의 투표
오늘의 한국에서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투표해야 할까?
그리스도인 투표자를 위한 지침
신실한 시민, 신실한 그리스도인
나눔을 위한 질문
7장, 정치 이념보다 중요한 것
나와 정치 성향이 다른 이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정의에 대한 이해는 달라도 사랑 안에서 하나 되기
정치적 견해가 달라도 공동선을 추구하기
정치적 견해가 달라도 서로의 양심을 지켜 주기
정치를 초월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
나눔을 위한 질문
8장, 복음을 중심에 둔 정치 참여를 위한 10가지 원칙
원칙 1: 특정 정치인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기준으로
원칙 2: 신문보다 성경을 더 많이 읽자
원칙 3: 정치를 신앙의 자리에 올려놓지 말자
원칙 4: 정치에 상처 입은 교인들을 위한 회복의 공동체
원칙 5: 정치적 겸손의 실천
원칙 6: 사실과 진실 추구하기
원칙 7: 책임 있는 언어를 사용하기
원칙 8: 약자들의 관점에서 생각하기
원칙 9: 장기적 관점 유지하기
원칙 10: 기도하는 정치 참여자 되기
나눔을 위한 질문
에필로그: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그 답을 찾아서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