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스포츠사회학의 이해 9
(1) 스포츠의 특성 11
1. 놀이, 게임, 스포츠의 진화론적 정의 11
2. 놀이, 게임, 스포츠의 특성비교 16
(2) 근대 스포츠의 특징 20
1. Guttman의 근대 스포츠의 특징 20
2.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 24
3. 현대 스포츠의 대중화와 고도화 25
4. 현대 스포츠의 세계화 27
(3) 스포츠사회학의 이해 31
1. 스포츠사회학의 연구영역과 주제 31
2. 스포츠사회학의 연구방법 32
(4) 사회학 이론의 스포츠 적용 33
1. 구조기능주의 33
2. 갈등주의 38
3. 비판 이론 42
4. 상징적 상호작용론 45
5. 교환이론 48
6. 문화연구 49
(5) 스포츠 사회화 50
1. 스포츠 사회화의 개념 50
2. 스포츠 사회화 이론 65
?? 스포츠 집단 및 조직의 이해 68
1. 스포츠 집단의 개념 68
2. 스포츠 집단의 정의 69
3. 스포츠 집단의 형성 원인 70
4. 스포츠 집단 구조 71
5. 스포츠 집단의 발달 모형 72
6. 스포츠 집단과 응집력 77
7. 스포츠 조직 80
8. 스포츠와 조직 문화 85
9. 스포츠조직과 리더십 86
10. 스포츠 조직 갈등 93
11. 국제 및 국내 스포츠조직 94
제2장 스포츠와 사회제도 95
(1) 스포츠와 정치 97
1. 스포츠의 정치적 속성 97
2. 스포츠가 정치화되는 이유 99
3. 스포츠와 정치의 결합 방법 100
4. 국가수준에서 스포츠의 정치적 역할 102
5. 국제정치에 스포츠가 개입되는 방식 104
6. 국제 스포츠에서 나타나는 정치적 현상 105
(2) 스포츠와 경제 110
1. 스포츠가 상업화되기 위한 조건 110
2. 상업주의화된 스포츠의 변화양상 110
3. 스포츠 메가이벤트의 경제효과 117
4. 스포츠 메가이벤트의 민족주의와 상업주의(Coakley, 2017 118
5. 스포츠와 산업 119
6. 스포츠를 통한 마케팅 120
(3) 스포츠와 교육 121
1. 스포츠교육의 순기능(임번장, 2008) 121
2. 스포츠교육의 역기능(임번장, 2008) 122
3. 학원 엘리트스포츠 123
4. 스포츠 육성의 모델 125
5. 스포츠 육성 제도 127
6. 스포츠 육성의 실제 128
7. 스포츠 육성의 주체: 스포츠 육성 거버넌스 129
8. 학교체육 참여기회의 평등 129
(4) 스포츠와 대중매체(매스미디어) 130
1. 대중매체 이론 130
2. 대중전달 이론 134
(5) 스포츠와 의사종교 143
제3장 스포츠와 사회문제 145
(1) 스포츠와 계층 147
1. 스포츠 계층의 개념 147
2. 계급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147
3. 스포츠와 계급 이데올로기 148
4. M. Tumin의 스포츠계층의 형성과정 150
5. 스포츠 계층의 특성 152
6. 스포츠 계층의 이동 155
7. 부르디외(P. Bourdieu)의 자본 개념 157
8. 사회계층별 스포츠 참가 159
(2) 스포츠에서의 젠더 160
1. 젠더(Gender)의 이해 160
2. 스포츠에서 성차별 161
3. 성역할의 사회적 특징 163
4. 젠더 이데올로기의 지형 165
5. 스포츠와 페미니즘 167
6. 스포츠 젠더 평등의 전망과 미래 176
(3) 스포츠에서의 일탈 178
1. 일탈의 개념 178
2. 일탈의 기능 180
3. 스포츠 일탈의 원인(구조적 근원): (J. Coackley) 181
4. 스포츠 일탈(폭력)행위의 원인 182
5. 스포츠 일탈의 유형 183
6. 폭력행위의 개념 규정 방법 188
7. 스포츠 일탈의 평가규범 189
8. 스포츠 일탈의 이론적 관점 190
(4) 스포츠에서의 집합 행동 199
1. 집합행동의 발생 여건 199
2. 집합행동의 발생 원인(요인) 199
3. 집합행동의 특성 200
4. 폭력적 집합행동의 이론적 이해 201
5. 폭력적 집합행동 통제 전략 202
6. 집합행동의 유형 203
7. 관중행동의 유형 206
8. 스포츠 집합행동 이론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