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행정법총론
제1편 행정법통론 3
제1장 행 정 5
제1절 행정의 의의 5
제2절 통치행위 5
제2장 행정법 8
제1절 행정법의 의의 8
제2절 법치행정의 원리 11
제3절 행정법의 일반원칙 15
제3장 행정상의 법률관계 28
제1절 개 설 28
제2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당사자 30
제3절 행정상의 법률관계의 내용 32
제4절 행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36
제2편 행정작용법 45
제1장 행정입법 47
제1절 법규명령 48
제2절 행정규칙 58
제2장 행정행위 61
제1절 행정행위의 개념 61
제2절 행정행위의 종류 62
제3절 행정행위의 부관 73
제4절 행정행위의 적법요건 및 효력발생요건 79
제5절 행정행위의 효력 82
제6절 행정행위의 하자 87
제7절 행정행위의 취소ㆍ철회 및 실효 98
제3장 그밖의 행정의 주요행위형식 104
제3편 행정절차ㆍ행정정보공개ㆍ개인정보보호 115
제1장 행정절차 117
제2장 정보공개 134
제3장 개인정보보호 143
제4편 행정상의 의무이행확보수단 147
제1장 행정강제 149
제1절 행정상 강제집행 150
제2절 행정상 즉시강제 159
제3절 행정조사 161
제2장 행정벌 165
제3장 새로운 의무이행확보수단 171
제5편 행정구제법 177
제1장 행정상 손해전보 179
제1절 국가배상 179
제2절 손실보상 198
제3절 부당이득반환청구권 202
제4절 결과제거청구권 203
제2장 행정쟁송 204
제1절 행정심판 204
제2절 행정소송 216
Ⅰ. 항고소송 218
Ⅱ. 당사자소송 280
Ⅲ. 객관소송으로서의 기관소송과 민중소송 285
제2부 행정법각론
제1편 행정조직법 287
제1장 행정조직법 통칙 289
제1절 개 설 289
제2절 행정주체와 행정기관 289
제3절 행정청 291
Ⅰ. 행정청의 권한 291
Ⅱ. 권한의 위임 291
Ⅲ. 권한의 내부위임 295
Ⅳ. 권한의 대리 296
제4절 행정청 상호간의 관계 298
Ⅰ. 상ㆍ하 행정청간의 관계 298
Ⅱ. 대등행정관청의 관계 300
제2장 국가행정조직법 301
제1절 중앙행정조직 301
제2절 지방행정조직 302
제3절 간접국가행정조직 302
제3장 지방자치법 303
제1절 개 설 303
Ⅰ. 지방자치의 개념 및 본질 303
Ⅱ.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304
Ⅲ. 지방자치단체의 성질 305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306
제1항 구 역 306
Ⅰ. 지방자치단체의 명칭과 구역 306
Ⅱ. 공유수면의 해상경계 307
Ⅲ. 공유수면 매립지등의 구역결정 307
제2항 주 민 308
Ⅰ. 의 의 308
Ⅱ. 주민의 권리 309
Ⅲ. 주민의 의무 320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321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328
제1항 총 설 328
제2항 자치입법권 328
Ⅰ. 조례의 의의 328
Ⅱ. 조례의 한계 328
Ⅲ. 조례의 하자 332
Ⅳ. 조례의 제정절차 332
Ⅴ. 조례의 통제 333
Ⅵ. 규 칙 336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337
Ⅰ.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 337
Ⅱ. 지방자치단체장 이외의 기관 338
Ⅲ. 지방의회 339
Ⅳ.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관계 341
제6절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관계 346
Ⅰ. 개 설 346
Ⅱ. 분쟁의 조정 346
제7절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관여 348
Ⅰ. 일반적 감독 348
Ⅱ. 보고ㆍ감사 349
Ⅲ. 감독청의 시정명령 및 취소ㆍ정지 350
Ⅳ. 감독청의 직무이행명령 352
제4장 공무원법 355
제1절 개 설 355
제2절 공무원관계의 변동 357
Ⅰ. 임 명 357
Ⅱ. 변 경 361
Ⅲ. 공무원관계의 소멸 365
제3절 공무원의 권리ㆍ의무ㆍ책임 369
Ⅰ. 공무원의 신분상 권리 369
Ⅱ. 공무원의 재산상 권리 369
Ⅲ. 공무원의 의무 373
Ⅳ. 공무원의 징계책임 379
Ⅴ. 공무원의 변상책임 386
제4절 권익의 보장 및 행정구제 389
제2편 특별행정작용법 395
제1장 경찰행정법 397
제1절 개 설 397
제2절 경찰작용의 근거 398
Ⅰ. 경찰작용과 법률유보의 원칙 398
Ⅱ. 현행법상 일반적 수권조항의 인정여부 398
Ⅲ. 경찰관직무집행법상 개별적 수권조항 400
제3절 경찰작용의 한계 401
Ⅰ. 법규상 한계 401
Ⅱ. 조리상의 한계 401
제2장 급부행정법 408
제1절 공물법 408
Ⅰ. 공물의 개념 및 종류 408
Ⅱ. 공물의 성립과 소멸 410
Ⅲ. 공물의 법적 특색 416
Ⅳ. 공물관리와 공물경찰 420
Ⅴ. 공물관리권의 행사로서 변상금의 부과 및 징수 422
Ⅵ. 공물의 사용관계 425
제2절 공기업과 특허기업 433
제3절 자금지원행정 436
제3장 규제행정법 438
제1절 행정규제기본법 438
제2절 토지규제행정법 440
Ⅰ. 도시계획 440
Ⅱ.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442
Ⅲ. 용도지역제 442
Ⅳ. 지구단위계획 445
Ⅴ. 개발행위허가제 446
Ⅵ. 토지거래계약허가제 448
Ⅶ. 공시지가제 450
제3절 환경행정법 453
Ⅰ. 개 설 453
Ⅱ. 환경영향평가와 행정소송 453
제4장 공용부담법 456
제1절 개 설 456
Ⅰ. 공용부담의 의의 456
Ⅱ. 공용부담의 종류 456
제2절 인적 공용부담으로서의 부담금 457
제3절 공용제한 459
Ⅰ. 공용제한의 의의 459
Ⅱ. 개발제한구역지정 459
제4절 공용수용 460
Ⅰ. 공용수용의 의의 460
Ⅱ. 공용수용의 절차 460
Ⅲ. 토지보상법상 그밖의 손실보상의 내용 469
Ⅳ. 공용수용의 효과 475
Ⅴ. 환매권 476
제5절 공용환지ㆍ공용환권 481
Ⅰ. 공용환지 481
Ⅱ. 공용환권(주택재건축ㆍ재개발사업) 483
제5장 재무행정법 487
Ⅰ. 조 세 487
Ⅱ. 조세의 부과 및 징수에 대한 권리구제 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