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제1장 약물 3
제1절 “약물” 3
1. 약물(Drug)의 정의 3
2. 약물의 분류 4
3. 약물(중독자 사용투약자)의 투약 경로 8
4. 약물 투약 후 인체 내의 배설 14
제2절. 뇌 약물 사용의 이해 18
제2장 마약류(약물)의 특성과 종류 33
제1절. 마약의 정의 33
1. 마약 (Narcotic)이란 33
2. 마약류(약물) 특성과 종류 34
1) 마약류의 특성 34
2) 마약류(약물)의 종류 37
가) 마약류의 종류 37
나) 합성마약 42
다) 향정신성 의약품 43
3) 신종 마약류 50
4) 임시 마약류 62
5) 약물의(마약) 원료 물질 65
6) MZ(청소년)세대 약물 73
제3장 약물남용 81
제1절 약물남용의 정의 81
1. 관련용어 정리 81
1) 약물 사용 (drug use) 81
2) 약물 오용(drug misuse) 82
3) 약물 남용(drug abuse) 82
4) 약물의 의존(drugdependence) 82
5) 급성중독(ineoxication) 82
6) 내성(Tolerance) 83
7) 금단증상(Withdrawal syndrome) 83
8) 습관성(Habituation) 83
9) 탐익성(Addiction) 83
제2절 남용약물의 분류 및 약리작용 84
1. 중추신경 흥분제(각성제,Stimulants)혹은 자극제 84
1) 암페타민계약물(Amphetamine) 85
2) 니코틴과 담배 86
3) 코카인 89
4) 카페인(커피, 커피, 음료수 등) 92
2. 중추신경 억제제(Depressants, 진정제) 92
1) 아편계 약물 94
2) 알코올(술) 97
3) 신경안정제 및 수면제(Sedatives-hypnotics) 101
4) 진통, 진해제(Dextromethorphan hydrobromide) 102
3. 중추신경 흥분과 억제제 동시 발생 104
1) 대마초(마리화나 : Marijuana, Cannabis) 104
4. 환각제(Hallucinogens) 107
1) 환각제 의의 107
2) 흡입제(Inhalants)/용매(Solvents) 109
제4장 약물 중독 115
제1절 역사로 본 마약(DRUG) 115
1. 마약(Drug) 역사의 기원 115
2. 종교와 마약(약물)의 역사 115
3. 신성한 마약 식물인 마리화나와 아편 116
4. 인간이 신에게 받은 선물의 마약 식물 117
제2절 근대 마약의 역사 124
1. 유럽 미주 124
2. 중국 (아편전쟁) 125
3. 일본 126
4. 한국 마약(DRUG)의 역사 127
제3절 중독의 이해(中毒, Addiction, intoxication) 139
1. 중독의 정의 139
2. 중독의 유형 142
1) 신체적 증상으로서 중독(intoxicaton) 142
2) 정신적 의존증으로서 중독(dependence) 142
3. 중독의 증상과 특성 143
1) 중독적 사고(An-addictive accident) 143
2) 집착(Pre-occupation) 144
3) 강박(Compulsion)1 46
4) 갈망(Craving) 147
5) 지각 착각(Delusion) 147
6) 중독의 특성 148
(1) 환청 151
(2) 환시 151
(3) 환촉 152
(4) 환미 152
(5) 환후 152
4. 신경전달물질의 이해 153
1) 도파민 의의 154
2) 도파민 보상체계 155
3) 내성(Tolerance) 156
4) 교차내성(Cross-Tolerance) 156
5) 의존(Dependence) 156
6) 공동의존 157
7) 부정(Denial) 157
8) 퇴약 증후(Withdrawal sign) 159
5. 후기 급성 금단증상(Post Acute Withdrawal: PAW) 159
1) 후기 급성 금단증상들(PAW) 159
2) PAW의 양상들 160
3) PAW 증상의 관리 161
6. 중독의 재발 162
1) 재발이란 162
2) 재발의 개입 164
3) 재발의 정의 및 관련 모델 165
4) 재발과 관련된 사회적 통념 171
5) 재발의 원인 172
6) 재발의 발생케 하는 요인들 174
7) 재발의 신호 176
8) 재발 발생 신호 대처 179
9) 실수(slip)를 했다. 180
10) 재발 시 181
11) 치료 성과의 유지 및 재발 예방 183
제4절 약물 중독자 범죄 종류와 특성 191
1. 제조 생산 191
2. 밀 수출입 191
3. 소지 투약 사용 193
4. 범죄의 특성 194
1) 중독자의 범죄 발생 194
2) 중독자의 범죄 특성 195
3) 중독자 혈액형에 의한 심리적 변화의 현상(상담자 활용) 198
제5장 약물중독 원인과 치료모델 205
제1절 중독의 원인 205
1. 심리적 원인 205
2. 사회적 원인 207
3. 생물학적 원인 211
4. 영적인 원인 218
5. 기타 원인들 219
제2절 약물 중독자 치료모델 221
1) 도덕·의지 모델(Moral-volitional model) 222
2) 의료 모델(질병 모델) 223
3) 사회학습 모델(Social learning model) 225
4) 성격 모델(Personality models) 227
5) AA (Alcoholics Anonymous)-12단계 모델 228
6) 교육 모델(Educational models) 229
7) 사회문화 모델(Sociocultural models) 229
8) 공중보건 모델(Public health models) 230
제6장 약물 중독자 대상별 이해 235
제1절 청소년 약물 235
1. 청소년 개념과 특성 235
2. 청소년의 특징 237
1) 청소년기의 과업 238
3. 청소년 약물의존과 성인 의존과 비교 240
1) 복합적 약물사용 비교 240
2) 내적인 이유 240
3) 약물사용의 수준 241
4) 중독과정의 속도 241
5) 약물의존에 대한 감정적 정체 241
6) 망상체계 242
7) 조장자 242
4. 청소년 약물중독의 과정 242
1) 감정전의 경험 단계 242
2) 감정전이 추구 단계 244
3) 파괴적인 감정전이 돌입단계 245
4) 파괴적인 감정 의존단계 247
5) 청소년 약물남용과 성격의 특성 249
6) 청소년 약물상담 시 유의사항 253
제2절 여성과 약물 258
1. 여성 약물사용의 실태 258
2. 여성 약물사용의 패턴 259
1) 신체적 원인 259
2) 심리적 요인 263
3) 사회적 원인 263
4) 중독의 과정과 증상 264
3. 약물중독 여성의 치료적 요건 265
1) 여성상담 266
제3절 노인과 약물 268
1. 노인의 문제 269
2. 노인의 알코올남용 및 의존 270
1) 유병률 270
2) 증세와 동반 질환 270
3) 알코올과 노화 272
4) 알코올과 약물 상호작용 273
5) 예방과 치료 273
6) 노인의 약물남용 275
3. 노인상담 279
제4절 음식중독과 마약중독과의 상관관계 연구 282
1. 약물중독(마약)과 음식중독에 관한 상관관계의 이해 282
1) 음식 중독이란 283
2) 음식중독의의 284
3) 음식중독과 폭식증 285
4) 음식중독의 특성 286
(1) 심리적 요인 286
(2) 음식중독의 문제와 원인 287
(3) 사회적 요인 288
(4) 생물학적 요인 288
(5) 정신적요인 289
5) 음식중독 질병 유형 290
(1) 야식증후군 291
(2) 음식중독의 발생원인 및 실태와 신경전달물질 291
6) 음식중독자 범죄 294
7) 사회적 요인 296
8) 음식중독과 마약중독의 비교 301
9) 음식중독의 치료 및 상담 304
제5절 중독에 따른 집단동료 원숭이의 연구 307
1. 애착관계의 동물치료와 비교연구 308
제7장 약물중독의 예방과 치료 311
제1절 중독 예방 311
1. 약물 예방의 개념 311
1) 1차 (primary prevention)투약 사용예방 311
2) 2차(secondary prevention)예방 312
3) 3차(tertiary prevention) 예방 313
4) 중독자 위기 예방상담 313
5) 중독자 자살 예방상담 315
제2절 약물중독의 치료 317
1. 약물중독의 치료 이해 317
2. 약물의 치료 318
1) 치료의 목표 318
2) 초기 대응 시의 유의점 319
3. 치료 중 중독 의존자의 태도 321
4.약물 중독자의 정신요법 322
1) 정신요법 적용하기 322
2) 시작되는 정신요법 323
3) 집단 정신요법 324
4) 가족 치료요법 325
5) 혐의요법 326
6) 외래에서의 정신요업 326
7) 약물요법의 병용 327
8) 입원상태에서의 정신요법 327
9) 병원 퇴원 전의 계획 328
10) 중독의존 회복 329
5. 미국의 약물중독 치료 330
1) 일반적인 치료프로그램 331
2) 약물중독자 형사법 제도의 치료 334
3) 과학적 약물중독치료 접근 336
4) 효율적인 약물중독 치료원칙 342
6. 명상 치료 344
1) 역사 344
2) 명상의 필요성과 목적 346
3) 명상의 유형 347
4) 명상의 효과 351
5) 자아존중감 352
6) 애착관계의 동물치료와 비교연구 354
7. 개별 치료 356
1) 중독자의 개별 치료의 이해 356
2) 임상 변화 단계 사정 357
3) 경청 360
4) 탐색형,개방형 361
5) 자신의 지각수준 361
6) 정기적 상태검토 362
7) 각 변화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접촉 362
8. 집단 치료 381
1) 집단 치료와 개별 치료의 이해 382
2) 집단 치료의 치료적 요인 383
3) 동기부여 증진집단 390
4) 단계의 기초적 집단접근 392
5) 집단결단력 증진기법 398
9. 외국 동남아 3국의 치료체계 402
제3절 회복을 위한 자조 활동 404
1. 의존 과정의 체험과 자조 활동 404
2. 중독의존 치료와 자조활동 404
3. 자조 활동에서의 치유 요인 405
4. 자조 활동의 현상 405
1) 알코올 중독의존자의 자조 활동 405
5. 약물 의존증자의 자조활동 408
1) NA(Narcotic Anonymous) 408
2) 나라논(Nar-Anon) 408
3) 다르크(DARC) 약물중독재활센터 408
6. 자조 활동과 의료 409
7. 국내 약물중독 치료기관 몇 회복/재활 소개 410
제8장 약물 중독자 발생의 문제와 대책 417
제1절 약물중독자 사범 발생의 문제점과 대책 417
1. 확산되는 약물 (마약류) 417
2. 투약자, 기생지역 및 관련 단체 418
3. 정신사범, 의료기관(취급자), 관리자(보관) 및 법 관련 419
4. 예방의 홍보 미미 420
5. 중독자 교육, 상담 및 재활 치료 421
제2절 약물 중독자 발생에 대한 예방책 422
1. 약물(마약류) 밀반입 및 관련법 개선 422
2.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 예방책 423
3. 의료기관 및 취급자 와 약국 판매자 개선 방안 424
4. 중독투약자 및 기생지역의 개선 방안 425
5. 홍보와 효율적인 교육 427
6. 중독자 치료보호 및 교정 치료, 교육 강화 427
참 고 문 헌 435
1. 국내문헌 435
2. 언론지 몇 방송자료 438
2. 국외문헌 439
3. 인터넷 자료 홈페이지 442